※ 이 문서는 강현이와 함께 꿈꾸는 놀이터 (https://buchomi.tistory.com/51)에서 인쇄하였으며, 저작권은 부초미에게 있습니다.
대문으로 맨 위로 글끝으로 댓글쓰기 댓글보기 RSS FEED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

2011. 12. 13. 23:37

*겨울잠(=동면)의 사전적 내용

추위와 먹이부족에 대한 적응으로, 육생의 많은 변온동물과 일부의 정온동물에서 볼 수 있다. 개구리 ·뱀 ·도마뱀 ·거북 등의 양서류나 파충류는 온도 변화가 작은 물 밑이나 땅속에서 월동하는데 체온은 주위 온도와 거의 같아지고 물질대사는 저하된다.

 

 

1)개구리형 겨울잠 (변온동물)

- 개구리, 뱀, 거북이 같은 변온동물은 겨울에 온도변화가 적은 땅 속에서 겨울잠을 잡니다.이들은 땅속, 돌이나 쓰러진 나무 밑 등 온도가 별로 내려가지 않는 곳으로 들어가 기온이 너무 떨어져 체온이 내려가는 것을 막습니다.


1.뱀

뱀은 파충류에 속하는데 파충류 중에서 가장 특수하게 진화한 동물군으로 변온동물이며 땅속에서 겨울잠을 잔다.

 
2. 개구리


개구리는 변온동물이며 양서류이다. 땅속이나 바위밑에서 겨울잠을 잔다.

3.거북
 
 
 거북은 파충류중 가장 오래 전 부터 존재해왔으며 겨울잠을 잘때는 몸의 온도가 0도 가까이로 내려간다.

 

 

2) 곰형 겨울잠 (항온동물)

곰, 박쥐, 고슴도치 등 포유류는 거의 죽은 상태에서 겨울을 지냅니다.  

이들은 동굴이나 나무구멍, 흙속에서 겨울잠을 자며, 이 때의 체온은 1에서 2도까지 내려가지만 그이상은 내려가지 않고, 평상시 1분에 350번 정도 뛰던 심장도 이때는 3번 정도로 줄어듭니다.

 

 

1.곰

 

곰은 4개월이나 겨울잠을 잔다.  겨울잠을 자면서 1월경 새끼곰을 낳는다.곰은 나무나 바위로 된 자연 구덩이에서 체온이 30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고 얕은 수면상태로 가을에 저장한 지방을 소모 하면서 지낸다.

 


2.박쥐

 

박쥐는 겨울잠을 잘 때는동굴의 천정에 매달려 날개로 온몸을 감싸는데 체온이 영하로 내려갈 정도로 몸이 아주 차가워진다.

3.다람쥐
 
 
다람쥐는 겨울이 되면 땅 속 굴이나 바위 구멍에서 반수명 상태로 겨울잠을 자는데 굴속에 이끼와 나뭇잎으로 보금자리를 만든다

5.고슴도치
 
 
고슴도치는 야행성으로 낮 동안은 나무뿌리 밑의 구멍이나 바위 틈에 숨는다.

체온은 바깥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하기 쉽고, 북쪽에 사는 것은 10~4월까지 동면한다.


6.오소리

 

오소리는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며 몸길이 56∼90cm, 꼬리길이 11∼20cm, 몸무게 10~16kg이다.번식기는 10월경이며 이듬해 5월경에 2~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추운 지방에서는 11월부터 2∼3월까지 동면한다.

 
3)조류  

1.쏙독새

대다수의 새는 겨울잠을 자지 않으나 북아메리카의 꼬마아메리카쏙독새는 겨울에 바위가 갈라진 틈에 들어가 겨울잠을 잔다고 하는데,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단 하나의 예이다.

 4)어류 


1.미꾸라지

수온이 내려가는 늦가을부터 진흙 속에 들어가 겨울잠을 잔다.

 5)기타 

1.달팽이
 
암수한몸으로 알을 낳아서 번식하며, 외부온도에 따라 체온이 바뀌기 때문에, 겨울에는 을 잔다.

2.무당벌레

겨울에 무리지어 동면을 취한 어른 무당벌레는 봄에 출현하여 포식활동과 산란을 하다가, 여름잠을 잔뒤 9월경에 가을에 다시 등장하여 포식활동, 번식, 산란을 하는 한살이를 갖고 있다.
 
 


 6)나열해보자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

포유류: 곰, 너구리, 오소리, 박쥐, 다람쥐, 고슴도치, 날다람쥐, 햄스터, 동면쥐

파충류: 뱀, 거북, 도마뱀 

양서류: 개구리, 두꺼비, 도룡뇽

조류 : 쏙독새

어류 : 미꾸라지

*달팽이, 무당벌레


  

 
 

'꿈&놀이터 > 학습활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0) 2012.07.12
여러가지 집모양  (0) 2012.06.15
미래의 집  (0) 2012.06.14
한자 연습장 - 구몬학습DII 과정  (0) 2011.09.20
한자 연습장 - 구몬한자DI 과정  (0) 2011.09.20
엮인글 개, 댓글 개가 있습니다.